E D R , A S I H C RSS

Full text search for "임의의 페이지 이름"

임의의 페이지 이름


Search BackLinks only
Display context of search results
Case-sensitive searching
  • HelpOnPageCreation . . . . 56 matches
         == 페이지 만들기 ==
         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중에 위키에서 일반적으로 권고되는 방법으로는 먼저 원하는 페이지로 가서 편집을 해서, {{{FoobarPageName}}}이나 , {{{[[어쩌고페이지]]}}}식으로 위키링크를 본문에 집어넣고 저장을 합니다. 이렇게 하면 새롭게 갱신된 페이지에 새로운 링크가 생기게 되는데, {{{FoobarPageName}}} 혹은 {{{[[어쩌고페이지]]}}}라는 위키링크가 새로운 페이지를 가리키게 됩니다. 새로운 페이지는 아직 없기 때문에 새롭게 만들어진 위키링크는 색상이나 모양이 약간 다른 형태로 보이게 됩니다. 이것을 클릭하면 페이지를 새로 만들것이냐는 대화 메시지 혹은 비슷한 이름을 가진 페이지 목록을 보여주게 되며, 원한다면 새롭게 페이지를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새롭게 페이지를 만드는 경우도 일반 페이지를 편집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고칠 수 있습니다. 편집 폼에 내용을 채운 후에 최초 저장을 하면 페이지가 진짜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한번 만들어진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지울 수 없도록 되어있습니다. [[FootNote(페이지 지우기는 모니위키 설정을 통해 변경가능합니다. 또한 모니위키에서는 페이지를 지우더라도 변경 역사까지 지우게 되어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언제든지 복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위키 페이지를 처음 만들 때에 위키 페이지 이름을 잘 만드는 것이 낫겠지요.[[FootNote(모니위키에서는 페이지이름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며, 페이지이름에 대한 별명을 만드는 방식도 지원합니다)]]
         하위 페이지를 만들면 조금 특별하게 처리됩니다. 하위페이지도 일반 페이지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만들 수 있으며 {{{[[페이지/하위페이지]]}}}와 같은 식으로 연결되는 페이지입니다. 하위페이지에 대한 설명은 HelpOnEditing/SubPages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 템플릿 페이지 ==
         템플릿 페이지는 조금 특별하게 취급되는 페이지입니다. 페이지를 만들되 페이지 이름이 "'''Template'''"로 끝나는 페이지를 만들면 그것이 템플릿 페이지가 됩니다. [[FootNote(위키 관리자에 의해서 Template로 끝나는 이름이 아닌 다른 형태의 이름으로 그 설정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템플릿 페이지페이지를 새롭게 만드는 경우에 목록으로 제시되게 되며, 템플릿 페이지를 선택하면 그것이 처음으로 편집 폼에서 인용되어 처음 만드는 페이지를 보다 쉽게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 페이지 변수 ==
         다음의 변수들은 페이지가 최초 저장될 때에 자동으로 적당한 값으로 대치됩니다. 이 변수들은 미리보기할 때는 있는 그대로 나오며, 템플릿 페이지인 경우에는 변수가 대치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저장된다는 사실에 유의해 주세요.
         || @''''''PAGE@ || 페이지 이름 (템플릿 페이지에 주로 유용하게 사용됨) ||
         || @''''''USERNAME@ || 사용자 이름 ||
         || @''''''USER@ || 사용자 이름 서명 "-- loginname" ||
         || @''''''SIG@ || 사용자 이름 서명 "-- loginname date time" ||
  • HelpOnLinking . . . . 44 matches
         == 페이지 이름 ==
         모니위키는 페이지 이름을 넣는 여러가지 링크방식을 제공합니다.
         {{{[[모니위키]]}}}라고 적으면 [[모니위키]]처럼 링크가 됩니다. 이것은 MoinMoin 최신이나 MediaWiki에서 쓰이는 페이지 이름 연결 문법으로, 모니위키에서도 호환성 측면에서 지원합니다.
         /!\ 이 문법은 매크로 문법과 충돌합니다. 예를 들어 {{{[[Date]]}}}라고 링크를 걸면 Date가 링크가 되는 대신에, Date 매크로가 호출되게 됩니다. 따라서 영문으로 된 페이지 이름을 연결할 경우는 매크로 이름이 중복되어 있다면 이중 대괄호로 링크를 걸 수 없습니다.
         === 임의의 이름 연결 ===
         공백을 포함하는 임의의 페이지 이름을 연결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공백이 있는 이름]}}}으로 연결하면 [공백이 있는 이름]으로 연결되며, 공백이 모두 제거 되고 정규화 된 페이지가 링크가 걸립니다. {{{[hello world]}}}라고 링크를 걸렴 [hello world]라고 링크가 걸리고 공백이 모두 사라지면서 정규화 된 페이지 이름인 HelloWorld페이지로 링크가 걸립니다.
         공백이 있고 대소문자도 마음대로 지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임의의 페이지 이름"]}}}으로 링크를 걸면 ["임의의 페이지 이름"]처럼 링크가 됩니다.
         [[$mediawiki_style]]=0 옵션으로 항상 공백 무시하고 페이지 연결 할 수 있습니다.
         모니위키 1.1.5부터는 [["임의의 페이지 이름"]]과 같은 문법도 지원합니다.
         만약 다른 이름으로 보이게 하려면 {{{[wiki:MoniWiki:FrontPage 대문]}}}과 같은 식으로 쓰면 `{{{MoniWiki:FrontPage}}}`로 연결되고 `[wiki:MoniWiki:FrontPage 대문]`이라고 보여지게 됩니다.
         일반 위키페이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wiki:FrontPage 대문]}}}이라고 쓰면 `FrontPage`로 연결되고 `대문`으로 표시됩니다.
         또한 공백을 포함한 페이지의 경우 {{{wiki:"페이지 이름"}}}과 같은 형태의 문법도 지원합니다.
         WikiName과 같은 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그대로 보여지는 것을 원한다면 느낌표(''bang'')를 다음과 WikiName앞에 붙여서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WikiName}}} `!WikiName`. 또한 물음표를 임의의 단어 앞에 붙이면 강제로 링크가 걸리게 됩니다. i.e. {{{?Hello}}} `?Hello`.
         그밖에 위키 문법은 HelpOnEditing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혹은 페이지별로 !WikiName식 링크 기능을 비활성화/활성화 하려면 `#camelcase` 혹은 `#camelcase 0` 를 페이지 최상단에 넣어줍니다. (ProcessingInstructions 참조)
          * 페이지 이름 없이 인터위키 이름을 다음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 {{{[MoinMoin:]}}} [MoinMoin:] {{{[[MoinWiki:]]}}} [[MoniWiki:]]
          * [[wiki:페이지이름 http://...이미지URL]]
  • HelpOnMacros . . . . 42 matches
         매크로는 위키 페이지에 특수한 기능을 집어넣는 확장입니다. 대부분의 위키페이지는 매크로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특수한 기능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centChanges 페이지에는 RecentChanges매크로를 사용하고 있고, SystemInfo 페이지에는 SystemInfo 매크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 페이지를 편집하거나 [[Icon(info)]]를 눌러 이전 정보로부터 페이지 소스를 보시면 매크로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매크로는 {{{[[MacroName]]}}}과 같은 문법을 사용합니다. 매크로에 대한 인자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각 매크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해당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모니위키에 있는 모든 매크로를 확인하려면 [MoniWikiMacros]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위키 문법이 궁금하시면 HelpOnEditing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 원래 모인모인 문법에서 매크로 이름은 반드시 대문자로 시작하는 이름이어야 했습니다. 모니위키에서는 이러한 제한이 없습니다.
          * 매크로 문법은 {{{[[페이지 이름]]}}}문법과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ateTime 페이지가 있을 때에 {{{[[DateTime]]}}}이라는 식으로 DateTime을 연결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DateTime]]이라고 나오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DateTime"]]}}}이라고 하면 [["DateTime"]]이라고 링크가 걸립니다.
          * 모니위키 1.1.5부터는 모인모인 최신처럼 {{{<<매크로이름>>}}} 문법을 지원합니다.
          * 이경우 대소문자 구분이 중요한데, 반드시 `plugin/파일이름.php`에 대응하는 파일이름을 {{{"각주"=>"매크로파일이름"}}}식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TitleSearch]]}}} || 페이지 제목/별명 찾기 [* 모니위키 1.1.5부터 페이지 별명도 찾아줍니다] || FindPage ||
         ||{{{[[FullSearch]]}}} || 페이지 내용 찾기 || FindPage ||
         ||{{{[[GoTo]]}}} || 페이지 바로가기 || FindPage ||
         ||{{{[[PageList(regex)]]}}} || 정규식에 해당하는 페이지이름 찾기 || HelpIndex ||
         ||{{{[[RecentChanges]]}}} || 최근에 변경된 페이지 목록 || RecentChanges ||
         ||{{{[[TitleIndex]]}}} || 모든 페이지에 대한 제목 목차 || TitleIndex ||
         ||{{{[[WordIndex]]}}} || 페이지 이름으로 구성된 단어 목차 || WordIndex ||
         ||{{{[[RandomPage]]}}} || 랜덤페이지 || [[RandomPage]] ||
         ||{{{[[RandomPage(#)]]}}} || 여러개의 랜덤 페이지. 인자는 숫자 || [[RandomPage(2)]] ||
         ||{{{[[TableOfContents]]}}} || 목차 매크로 || 현재 보고계신 페이지에서 사용중입니다. {{{ == 제목 == }}}을 모아 목록으로 보여주고, 페이지 이동 링크를 만듭니다. ||
         ||![[OrphanedPages]] || 고아 페이지 목록 || 어디에도 링크 되지 않은 문서 목록 ||
         ||{{{[[InterWiki]]}}} || 등록된 [[인터위키]] 이름 || InterWiki ||
  • HelpOnActions . . . . 32 matches
         모니위키는 액션이라는 확장기능을 제공합니다. 액션은 현재 보고 있는 페이지 혹은 전체 위키에 대한 특별한 확장 기능을 말합니다. 매크로와는 다르게 위키 페이지에 직접 매크로를 삽입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페이지를 다른 방식으로 보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를 편집하는 기능를 `edit` 액션이라고 하며, 북마크를 하는 기능은 `bookmark`액션을 통해 이루어지고, 전체 검색, 제목 검색, 역링크 검색 등등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액션은 플러그인 방식으로 다른 기능을 손쉽게 확장할 수 있게 하여 위키의 풍부한 기능을 가능하게 만들어주고, 일부 액션은 페이지의 내용과 상관 없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페이지 지우기 기능은 DeletePage 혹은 페이지 이름을 바꿔주는 RenamePage 기능)
         액션의 일부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페이지의 맨 하단의 링크에 제공되거나 상단의 아이콘 메뉴에 제공되기도 합니다. (현재 사용하시는 테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 `!UploadFile`: 파일 업로드 UploadFile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 `!DeletePage`: 파일 지우기 - 하단에 파일 지우기 액션 메뉴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액션을 누르면 페이지의 최종 백업본이 지워지지만 페이지의 역사는 계속 남아있으므로 (시스템 관리자가 이것을 지우지 않는 이상) 언제든지 복구할 수 있습니다. 일부 위키에서는 지우기가 활성화 되어 있지만, 모니위키에서는 기본적으로 관리자만이 페이지를 지울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 `!LikePages`: 비슷한 이름을 가지는 페이지 목록을 찾아줍니다. 영문의 경우 적절히 잘라내어 앞/뒤 단어별로 검색해주며, 한글일 경우에는 앞/뒤 한글자 이상을 잘라내어 비슷한 파일 이름이 있는지 찾아줍니다.
          * `edit`: 페이지 편집
          * `diff`: 페이지 바뀐점 보기
          * `info`: 페이지 정보 및 과거 이력
          * `show`: 페이지 보기 (기본 액션).
          * `print`: 페이지를 프린트 뷰로 보기. 상단과 하단의 메뉴가 나오지 않고 콘텐츠를 위주로 나옵니다.
          * `subscribe`: 페이지 구독 SubscribePlugin 참조
          * `userform`: UserPreferences 페이지에서 사용되는 내부 액션
          * `revert`: 구 버전의 페이지로 되돌리기 위한 액션 (모니위키 1.1.3부터 지원)
          * `rename`: 페이지이름 바꾸기 액션
          * `titleindex`: 페이지 목록을 텍스트로 보내거나 (Self:?action=titleindex) XML로 (Self:?action=titleindex&mimetype=text/xml'''''') 보내기; MeatBall:MetaWiki 를 사용할 목적으로 쓰임.
          * `fullsearch`: `FullSearch` 매크로와 함께 사용되는 전체 페이지 검색 액션
          * `bookmark`: RecentChanges 페이지에서 북마크 기능을 지원하는 액션. 북마크를 하게되면 그 시점이 보존되며, 그 시점에서 새로 갱신된 페이지를 보다 손쉽게 알 수 있게 해줍니다.
          * `raw`: 페이지의 소스(raw)를 텍스트로 그대로 보여주는 액션. 위키 문법을 볼 수 있게 해준다.
         모니위키의 모든 액션은 MoniWikiActions 페이지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 MoniWikiTutorial . . . . 28 matches
          * '''쉽고 빠르게''': HTML 문법을 몰라도 누구나 쉽게, 그 결과는 바로바로 웹페이지
          * '''무엇이나''': 어떠한 페이지라도 상관없이
          * 이메일주소: 시스템이 이메일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이메일을 등록합니다. 페이지를 구독하거나 비밀번호를 잃어버렸을 때 필요합니다.
         == 둘째 고개: 위키의 기본 페이지들 ==
          * TitleIndex(목록) : 위키위키의 모든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Icon(diff)]] 페이지가 다른 사람에 의해 고쳐졌을때 그 변화를 보여주는 3차원 입체안경 아이콘입니다.
          * [[Icon(info)]] 페이지 변경 정보를 보여줍니다.
          * 매크로는 페이지내에 {{{[[GoTo]]}}}와 같은 형식으로 집어넣습니다.
          * 매크로는 페이지에 따라 종종 동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alendar]]}}}매크로를 사용하면 보이는 달력은 날마다 그 내용이 변할 수 있습니다.
          * `!TableOfContents` - 페이지의 목차를 만들어줍니다.
          * `!PageList` - 인수로 사용되는 패턴과 일치하는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아홉째 고개: 페이지 새로만들기 ==
         페이지를 새로 만들어봅시다. 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 상단의 검색 폼에다 만들고 싶은 페이지 이름을 넣습니다.
          * 페이지가 발견되면 그 페이지로 갈 것이고, 발견되지 않으면 비슷한 이름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비슷한 주제의 다른 페이지가 없다면 페이지 만들기를 가리키는 아이콘 혹은 링크를 눌러줍니다.
          * URL창에 직접 페이지 이름을 넣는 방법도 있습니다.
          * 페이지를 만들때는 Template를 사용하면 편리한 경우도 있습니다.
         페이지를 만들기 전에 비슷한 주제 혹은 약간 다른 이름페이지가 이미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AliasPageNames . . . . 19 matches
         # 이 페이지 이름을 가리킵니다.
         # 또한, 별명으로 가리킨 페이지가 단 하나의 페이지일 경우에 연결이 바로되기를 원하시면
         # 없는페이지이름>있는페이지1,있는페이지2
         # 있는페이지<없는페이지1,없는페이지2
         # 있는페이지,없는페이지,없는페이지
         WikiName,위키네임,위키이름
         ExtendedWikiName,확장위키네임,확장위키이름
         # 존재하는 페이지에는 인터위키(자매 페이지) 혹은 URL도 가능합니다.
         # 자매 페이지 연결
  • HelpOnProcessingInstructions . . . . 17 matches
         모니위키 페이지를 처리할 때에 프로세싱 인스트럭션 (PI)에 의해 그 기능이 제어될 수 있습니다. 프로세싱 인스트럭션은 페이지의 맨 상단에 위치하며, "{{{#}}}" 문자로 시작하는 키워드(대소문자 구분없음)로 구성되며 인자가 선택적으로 붙을 수 있습니다. {{{##}}} 두개가 시작되는 줄은 주석줄로 처리됩니다.
          * {{{#format}}} ''format-지정자'': 페이지의 포맷을 지정합니다. {{{#!}}}로 시작되는 경우는 공백 없이 바로 포맷-지정자를 씁니다.
          * {{{#redirect}}} ''페이지이름'': 다른 페이지로 이동 (MeatBall:PageRedirect''''''참조)
         모든 PI는 페이지의 맨 상단에 위치해야 합니다. 특별히 {{{#redirect}}}는 가장 맨 윗줄에 위치해야 합니다. 주석임을 나타내는 {{{##}}}만은 페이지 어느곳에나 쓸 수 있습니다만, 중간에 쓰는 경우에는 `wiki` 포매팅 문서일 경우에만 {{{##}}}가 주석으로 인식됩니다.
          * {{{#!}}}''프로세서-이름'': {{{#format}}} ''formatter''와 같다. 예) {{{#!vim}}}
          * {{{#title}}} ''페이지 제목'': 좀 더 장황하고 설명적인 페이지 제목으로 바꿔준다.
          * {{{#action}}} ''action name'': 페이지에 대한 기본 액션을 ''EditText'' 이외의 다른 것으로 바꿔준다.
          * {{{#keywords}}} ''keyword1,keyword2'': 페이지에 대한 키워드를 설정한다.
          * {{{#redirect}}} ''url'' : 페이지를 보게되면 `url`이 가리키는 곳으로 이동한다. `url`은 페이지 이름이 될 수도 있고, 인터위키, url 등등이 될 수 있다.
          * {{{#alias}}} ''alias1,alias2'' : 페이지의 별명을 설정한다. (모니위키 '''1.1.5''' 부터)
  • MoniWikiACL . . . . 17 matches
         ##@그룹이름 사용자리스트 [priority]
         * @Block deny * // 모든 페이지(*)를 @Block 사용자그룹에 대해 모든 액션(*)을 거부(deny)
         지정 방법은 {{{*}}}는 모든 액션을 가리키며, 페이지 이름은 regex가 가능합니다.
         # 페이지이름 @그룹/특정사용자 allow/deny 액션리스트
         * @ALL deny * // 모든 페이지(*)를 모든 사용자(@ALL)에서 모든 액션(*)을 거부(deny)
         * @ALL allow ticket // 모든 페이지를 모든 사용자에게 ticket 액션을 허락(allow)
         // 모든 페이지(*)를 일반 가입 사용자에게(@User) 허락(*)
         // WikiSandBox 페이지를 @Guest 그룹에 edit,info,diff 액션을 허용(allow)
         // 모든 페이지(*)를 모든 사용자(@ALL)에서 모든 액션(*)을 거부(deny)
         // 모든 페이지(*)를 모든 사용자(@ALL)에게 ticket 액션을 허락(allow) ticket은 가입 폼에 나오는 로봇가입방지 captcha
         // 모든 페이지(*)를 일반 가입 사용자에게(@User) 허락(*)
         // WikiSandBox 페이지를 @Guest 그룹에 edit,info,diff 액션을 허용(allow)
         // 모든 페이지(*)에 대해 모든 사용자의(@ALL) detetefile,deltetepage 등등의 protect 가능한 액션을 protect
         // MoniWiki 페이지를 @ALL 모든 사용자에게 edit,upload,diff등의 일부 액션을 거부
         모든 페이지에 대해서 읽기만 가능하게, ProtectedPage에 대해서는 읽기도 거부
  • FastSearchMacro . . . . 16 matches
         5천여개의 파일이 있을 경우 FullSearch는 5~10초 정도 걸린다. http://wiki.kldp.org 의 경우 현재 2천3백여 페이지가 있는데 이 경우는 2~3초 걸렸다.
         위키에서는 검색이 매우 중요한데 이정도 시간이면 꽤 느린 것이다. 위키의 규모가 작을때는 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위키가 1만여페이지 가까이 되는 경우는 얘기가 달라진다.
         현재 모니위키는 페이지를 fulltext indexing하지 않고 그냥 텍스트 서치에 의존하고 있다. 이것을 다음의 링크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perl 스크립트를 적용하여 FastSearchMacro를 구현하였다.
         FastSearc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wiki_indexer.pl은 하루에 한번정도 실행시켜야 하며, 5천여 페이지에서 약 5분여 동안의 시간이 걸린다. 이것을 php로 간단히 바꾸어 보니 약 7분여 소요.
         `wiki_indexer.pl`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페이지를 저장할때마다 fulltext 서치를 위한 인덱스를 생성시키면 될것이다. 단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인덱스를 업데이트하므로 속도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1. 10만 페이지정도에서도 괜찮은 속도를 나오게 하려면 ?
          1. 5천 페이지 인덱싱 : ~5분 - 검색속도 ~1초
          1. 2만 페이지 인덱싱 : ~20분 - 검색속도 ~5초
         인덱싱할 때 `unpack`하고 `sort`하는 부분이 있다. 로직에서 이 부분이 크게 중요한 부분이 아닌데, 이 부분을 빼내면 5천페이지 7분 정도 걸리던 것이 2분 미만으로 단축된다. 또 인덱스 사이즈가 커질수록 느려지게 되는데, `unpack`과 `sort`를 제거하면 전체 페이지가 많아져서 인덱스 사이즈가 커지더라도 큰 속도 저하가 없다.
          * 페이지 ID는 정렬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미리 정렬하는 것은 출력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 현재 5만 페이지를 인덱싱하는 속도가 ~1시간 정도 걸리고 있다.
          1. 페이지를 생성할 때에 자동 인덱싱된다. 이와 별도로 `bin/indexer.php` (콘솔용), `lib/exe/indexer.php` (웹용) 인덱서가 따로 있다.
          1. 약 1천500 페이지를 가져와서 인덱싱해보니 ~10분 이상 걸린다. 자체적 구현의 인덱싱방식이 너무 느린듯.
         $myplugins=array('fullsearch'=>'FastSearch'); # 앞에는 소문자로, 뒤에는 플러그인 파일 이름에 맞게 FastSearch.php 파일을 찾게되므로 대소문자 구분.
  • AttachmentMacro . . . . 15 matches
         올리고 싶은 파일 이름 혹은 이미 첨부된 파일 이름을 {{{attachment:파일이름.확장자}}}라고 써준다.
          * {{{attachment:페이지이름/foobar.png}}}
          * {{{attachment:페이지이름/thumbnails/foobar.png}}} - 손톱 그림 직접 지정. 기본 손톱그림이 사용됨
          * {{{attachment:페이지이름/foobar.png?thumbwidth=120}}} - 손톱그림 폭이 120px로 지정됨
          * {{{attachment:페이지이름/thumbnails/foobar.w120.png}}} - 손톱그림 폭이 120px인 이미지를 직접 링크.
          * {{{pds/페이지이름/thumbnails/}}} 아래 디렉토리에 해당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만들어짐
          * {{{attachment:페이지이름/foobar.w120.png}}} 위 방식과 같음.
  • MoniWikiOptions . . . . 15 matches
         `'''$frontpage="페이지이름";'''` 대문 지정
         `'''$theme='테마이름';'''` 테마
          * 지정할 수 있는 값으로는 moni,moni2 등이 있다. 디렉토리를 추가하고 파일이름을 똑같게 하면 아이콘을 모두 변경할 수 있다.
         `'''$logo_page="페이지이름";'''`
          * 로고를 클릭할 때 가는 페이지를 정한다. 기본값은 $frontpage.
          * 웹 페이지 하단의 액션 메뉴를 지정한다.
          * 웹 브라우저에 타이틀에 표시되는 사이트의 이름. 기본값은 {{{UnnamedWiki}}}
          *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 링크
          * 페이지 카운터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See PageHitsMacro)
          * RecentChanges 에서 페이지 리스트 글자 수 제한 설정. 값을 0으로 하면 제한이 없어진다.
          * 이렇게 페이지가 위키문서이므로 사용자가 추가/변경이 가능하다.
          * 모든 페이지 끝 부분에 자동으로 넣을 매크로를 지정하는 옵션.
          * MoniWikiOptionsForBigWikis : 1만페이지 이상 모니위키 운영시 옵션에 대한 설명.
  • HelpOnNavigation . . . . 14 matches
         각 페이지의 좌측 상단 (혹은 임의의 위치)에는 대문(FrontPage 혹은 home), 최근 바뀐 글(RecentChanges), 목록(모든 페이지의 가나다순 알파벳순 목록), 찾기(FindPage), 도움말(HelpContents) 등등의 메뉴가 있습니다.
          * [[Icon(show)]] 현재 페이지를 다시 읽기
          * [[Icon(edit)]] 페이지 고치기
          * [[Icon(info)]] 페이지에 관한 정보 보기 (페이지의 모든 고친 정보 등)
          * [[Icon(diff)]] 페이지의 바뀐 부분 보기
          * [[Icon(backlinks)]] 페이지의 역링크 보기
          * [[Icon(search)]] 다른 페이지 찾아보기
          * [[Icon(help)]] 도움말 페이지 보기
         상단의 페이지 제목 링크를 클릭하면 현재 보고있는 페이지를 가리키고 있는 모든 페이지 목록(역링크)을 보여줍니다.
  • HelpMiscellaneous . . . . 13 matches
         [[질문과답변]] 페이지에서 질문하시거나 http://kldp.net/projects/moniwiki 를 통해 질문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페이지 이름을 영어로 만들 것인지 한글로 만들 것인지에 대한 부담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부담을 덜고
         좀 더 유연한 페이지 이름을 접근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바로 페이지 이름의 별명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모니위키 1.1.5부터는 !HongGilDong이라는 페이지를 만들어 {{{#title 홍길동}}}이라고 하면 제목이 별명으로 등록되게 됩니다. 또한 다른 별명을 등록하려면 {{{#alias 홍 길 동,홍 길동}}} 등등을 등록하여 띄어쓰기에 상관없이 만들 수도 있으며, 제목 검색도 별명과 함께 검색되게 되었습니다.
         특별히 한글의 경우 그 띄어쓰기가 일관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모니위키 1.1.5부터는 띄어쓰기에 상관 없이 제목을 검색해주므로 띄어쓰기를 조금 잘못하더라도 손쉽게 페이지를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정 URL을 fix해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의 {{{http://foobar.org}}}였던 링크가 최근에 {{{http://foobar.com}}}으로 바뀌었다면 이를 UrlMappings에 등록해서 자동으로 잘못된 URL 정보를 fix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기능은 단지 대치만 해주기 때문에 실제로 페이지 내용이 바뀌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관심가지는 페이지를 북마크하는 기능을 하는 플러그인
         페이지의 점수를 주는 플러그인
         그밖에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기능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 HelpOnInstallation . . . . 13 matches
         개발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최신 스냅샷을 SnapShot 페이지를 통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moniwiki-1.x.y.tgz` 파일은 `moniwiki-1.2.0.tgz`와 같은 형식의 이름을 가지는 tar.gz 배포 압축 파일이다.
         디렉토리 이름을 원하는 것으로 바꿀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iki}}}라고 바꿀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호스팅하고 있는 사이트의 html 최상위 디렉토리에 압축을 풀면 `moniwiki`라는 디렉토리 이름으로 압축이 풀리는데,
         `/moniwiki`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다른 이름으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 `moniwiki` 디렉토리를 `wiki`로 바꿔주면 사이트의 위키 주소는 {{{http://foobar.com/wiki}}}이 된다. 유닉스/리눅스의 경우에는 {{{mv}}} 명령을 이용하여 {{{mv moniwiki wiki}}}라는 명령을 통해서 디렉토리 이름을 바꿀 수 있다.
         '''[[WinSCP]] 사용이 가능한 경우''' [[WinSCP]] 페이지를 참조한다.
          * WinSCP에서 임의의 디렉토리의 퍼미션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WikiSeed(위키 씨앗)을 심는 경우는 불필요한 페이지가 들어갈 수 있는데,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되면 지워도 되며, 아예 처음부터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BR]]
          * http://kldp.net/projects/moniwiki/forum 사이트도 참조하세요. (구 모니위키 프로젝트 홈페이지의 게시판)
         수동으로 설치하실 분들은 [[수동설치]]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 VimProcessor 페이지에 윈도우즈에 관련된 설명을 추가했습니다.
  • HelpOnPageDeletion . . . . 11 matches
         == 페이지 지우기 ==
         페이지 지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위키의 경우 {{{DeletePage}}} 액션을 통해 페이지를 지우실 수 있습니다. 페이지를 지운다는 것은 가장 최근의 편집 복사본이 지워진다는 것이며, 페이지의 모든 변경내역은 여전히 남아있게 됩니다.
         == 페이지 복구하기 ==
         지워지거나 손상된 페이지를 복구하려면 [[Icon(info)]]를 통해서 페이지 변경내역을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단축키로 '''i'''를 누르면 변경 내역을 보여줍니다.
         raw 혹은 [[GetText(source)]]라고 되어있는 링크를 누르면 텍스트 형식의 위키문법이 브라우져에 보여지게 되며, 이를 그대로 복사한 후에 해당 페이지에서 [[Icon(edit)]] 아이콘을 눌러 해당 페이지를 편집하여, 편집 폼에 복사했던 텍스트 내용을 붙여넣기 한 후에 저장합니다.
         모니위키 1.1.3부터 지원하는 `revert`액션을 사용합니다. 단축키로 '''i'''를 누르면 변경내역을 보여주며 이때에 [[GetText(revert)]]라는 액션에 대한 링크가 나타납니다. `revert` 액션에 대한 링크가 나타나지 않으면 {{{?action=revert&rev=1.100}}}식으로 주소줄에 써넣은 후에 페이지를 불러오면 대화창이 뜨게 됩니다.
  • FindPage . . . . 10 matches
         == 페이지 이름을 아신다면, 페이지 이름을 넣어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 페이지 이름을 잘 모르신다면 관심있는 내용을 검색해보세요 ==
          * RecentChanges: 최근에 고쳐진 페이지와 사람들의 참여 내역을 보여줍니다.
          * TitleIndex: 이곳에 있는 모든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WordIndex: 이곳의 모든 페이지 이름에 사용된 단어의 목록
  • HelpOnUserPreferences . . . . 10 matches
         위키위키를 여행하시는데에 사용자 등록을 하시면 편리합니다. 사용자 등록을 마친 후에는 우상단의 아이콘에 [[Icon(home)]]이 보이게 되며, 자신만의 [위키홈페이지]를 만들어 보실 수도 있습니다.
          * '''[[GetText(Name)]]''': 사용자의 실제 이름 혹은 별명. WikiName 형식으로 만들면 편리합니다.
          * '''[[GetText(Email)]]''': 자주 쓸 이메일 주소. 이메일 주소를 넣어주면 원하는 위키페이지에 대하여 그 변경점을 구독신청하거나 취소하실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를 잊으셨을 경우에도 이 이메일 주소를 사용해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 '''[[GetText(Quick links)]]''': 최상단에 있는 메뉴에 자신이 원하는 링크를 추가하거나 원하는 위키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넣을 수 있습니다. QuickLinks 페이지를 참조해주세요.
          * '''[[GetText(Subscribed wiki pages (one regex per line))]]''': 모든 페이지의 변경알림을 받아보고 싶은 경우에 '''`.*`''' 를 집어넣으시면 됩니다. (위키위키가 많은 변경이 있는 경우 권장하지 않습니다.) 각 페이지를 보고싶은 경우에는 각각의 페이지 이름을 줄 단위로 넣으시면 됩니다. 정규식에 익숙하신 사용자의 경우에 정규식을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설정에 따라서 상단의 아이콘 툴바에 [[Icon(email)]]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메일 아이콘을 누르면 해당 페이지를 구독하는 폼이 뜨게 됩니다.
  • HelpForDevelopers . . . . 9 matches
          1. 페이지 이름 및 쿼리 스트링 파싱
          1. 페이지 / 포매터 생성
          1. 페이지 헤더
          1. 페이지 타이틀
          1. 페이지 렌더링
          1. 페이지 푸터
         여기서 가장 많은 시간이 걸리는 부분은 보통 페이지 렌더링이며, 캐시를 사용하게 되면 페이지 렌더링 시간이 대폭 감소되게 됩니다.
  • HelpOnEditing . . . . 9 matches
         == 페이지 고치기 ==
         위키위키는 기본적으로, 위키위키 내의 모든 페이지를 모든 사용자가 고칠 수 있습니다. 위키위키는 좀 더 편리하고 직관적인 페이지 편집을 지원하며 편집에 앞서 몇가지 포매팅 규칙을 배우셔야 합니다.
         다음 페이지들은 위키위키를 고치는데 필수적인 규칙/문법을 설명합니다:
          * HelpOnLinking - 페이지간 연결과 이미지 넣기
          * HelpOnProcessingInstructions - 페이지 제어
          * HelpOnSubPages - 하위 페이지
          * HelpOnXmlPages - 페이지를 xml로 저장하고 xslt 적용하기
          * MoniWiki/HotKeys - 키보드를 이용한 페이지 이동, 편집.
  • HelpForBeginners . . . . 8 matches
         누구나 어떠한 페이지라도 고칠 수 있으며, 페이지간의 보다 손 쉬운 연결, 쉬운 서치환경, 그리고 현 위키에 있지 않는 페이지에 대해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기 쉬운 어포던스를 제공합니다.
         처음 위키위키를 방문하신다면 무작정 다른 페이지를 고치려 하지 마시고 [위키모래상자]같은 곳에서 위키위키에 사용되는 간단한 문법을 테스트해보시기 바랍니다.
         위키위키의 문법을 지금 당장 알고싶으신 분은 HelpOnEditing 페이지로 가시기 바랍니다.
          * WordIndex: 위키위키 페이지 이름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의 목록(따라서 이 위키위키의 주된 콘셉트를 보여줍니다.)
  • IncludeMacro . . . . 8 matches
         임의의 페이지를 불러들여 문서에 포함시켜줍니다.
          * {{{[[Include(Page Name)]]}}} 혹은 {{{[[Include("Page Name")]]}}}라고 입력하면 문서이름 "Page Name"의 내용을 문서에 삽입하게 됩니다.
         {{{[[Include(틀:이름,foobar="어쩌구, 저쩌구", bar=저쩌구)]]}}}
          * 인자 이름을 지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자이름은 숫자가 된다.
          * {{{[[Include(틀:이름,foobar="hello",foobar2="world",,"hello world",bah)]]}}}
          * 문서는 "틀:이름"
  • UploadFileMacro . . . . 8 matches
         모니위키의 {{{[[UploadFile]]}}} 매크로는 업로드 된 파일을 {{{$upload_dir}}}로 정의된 디렉토리에 각 페이지별 디렉토리를 생성시키고, 그 디렉토리에 업로드된 파일을 저장한다.
         attachment:filename.ext 혹은 attachment:페이지명:filename.ext
         아파치 mod_mime의 문제점으로 인해서 안전하지 않은 파일 이름을 점검합니다.
         예를 들어 아파치의 mod_mime이 hwp 확장자를 인식하지 못하는데, {{{my.php.hwp}}}와 같은 파일이름을 업로드할 경우, 아파치의 mod_mime모듈은 my.php.hwp를 hwp가 아닌 php파일로 인식하게 됩니다.
         $pds_protected를 설정해 놓으면 {{{my.php.hwp}}} 파일 이름이 my.php.txt.hwp로 이름이 바뀌면서 파일이 업로드 됩니다.
         그러나 노스모크 모인모인에서는 {{{pds/*}}} 하위 디렉토리로 모든 파일이 저장된다. 노스모크 모인모인과 호환을 보장하기 위해서 UploadFile액션은 특별히 {{{UploadFile}}}이라는 페이지에서 파일을 업로드하면 {{{pds/UploadFile}}}라는 디렉토리가 만들어지지 않고 pds 아래로 바로 업로드 되게끔 하였다.
         === 공백이 들어있는 파일 이름 ===
  • UploadedFiles . . . . 8 matches
         {{{[[UploadedFiles]]}}} : 현재 페이지에 첨부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pds/현제페이지이름/* 하위의 모든 파일 목록을 보여주게 된다.
         {{{[[UploadedFiles(페이지이름)]]}}} : 지정된 페이지에 첨부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 UploadedFiles 플러그인은 액션과 매크로를 동시에 지원하므로, 주소창에 {{{?action=uploadedfiles}}}를 덭붙여 주면 그 페이지에 첨부된 파일을 보여줍니다.
         모니위키는 업로드된 파일의 검색(이름 및 내용)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HelpOnNameSpace . . . . 7 matches
         예컨데 {{{SomeTopic}}}문서가 있을 경우 {{{SomeTopic}}}에 관련된 {{{SomeTopicSubTopic}}}과 같은 문서를 만들었을 경우 이 두 문서간의 차이점은 이름만 비슷할 뿐 전혀 관련이 없고 동등한 각각의 개별적인 문서가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모인모인 및 몇몇 초기 위키엔진에서는 [[HelpOnSubPages|SubPages]]라는 하위 문서를 {{{SomeTopic/SubTopic}}}으로 이름 짓고 {{{상위문서/하위문서}}}와 같은 방식으로 상/하위 문서를 구분하고 문서간의 연결을 유기적으로 하는 방식을 제공하게 되었다. (HelpOnSubPages 참조)
          * 이 경우 이름 공간을 구분하는 구분자는 "/" 문자.
         == 사용자 이름 공간 ==
          * 이 경우 이름 공간을 구분짓는 구분자가 "~" 문자.
          * 아파치 웹서버에서 지원하는 {{{"~foobar/"}}} 사용자 홈페이지 이름공간을 떠올리자.
  • CategoryCategory . . . . 6 matches
         분류 페이지에 들어가서 제목을 클릭하면 그 분류 페이지에 대한 역링크를 서치하고, 그 분류페이지의 링크가 들어있는 모든 페이지 목록을 보여주게 됩니다.
         또한 각각의 분류는 그 분류의 최상위 분류인 Category''''''Category를 가리키는 링크를 가지게 함으로서, 모든 분류페이지를 최종 역링크를 Category''''''Category가 되게 할 수도 있습니다.
         OriginalWiki와 일관적으로 만드려면 모든 분류는 "Category"로 시작하도록 지정해야 합니다. 물론 다른 방식으로 이름을 붙여도 문제되지 않습니다.
  • HelpContents . . . . 6 matches
         아래는 가장 중요한 도움말 페이지목록입니다:
          * HelpForBeginners - 위키 초보자를 위한 페이지
          * HelpOnPageCreation - 새 페이지 만드는 방법과 템플리트 이용하기
          * HelpOnPageDeletion - 페이지 지우기
          * HelpOnEditing - 페이지를 고치기
          * HelpOnActions - 각 페이지에 대한 여러가지 조작 및 변형법
  • HelpOnConfiguration . . . . 6 matches
         위키사이트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UnnamedWiki}}}입니다.
         {{{RCS}}}는 모니위키에서 버전관리를 {{{RCS}}}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MoniWikiRCS]] 페이지 참조.
         그 하위에 {{{bin}}} 디렉토리를 새롭게 만든 후에 {{{rcs}}}관련된 실행파일([[MoniWikiRCS]] 페이지 참조)을 {{{moniwiki/bin}}}아래에 복사하고
         [[config.php]]에 `$security_class="needtologin";`를 추가하면 로그인 하지 않은 사람은 위키 페이지를 고칠 수 없게 된다. 로그인을 하지 않고 편집을 하려고 하면 경고 메시지와 함께, 가입을 종용하는 간단한 안내가 나온다.
         메뉴의 대문(FrontPage)및 로고 그림이 연결하고 있는 페이지는 config.php의 다음 변수를 설정한다.
          * $hr='';로 지정하면, 페이지 상단의 <hr />과 하단의 <hr />이 출력되지 않는다.
  • FrontPage . . . . 5 matches
         Epic Tale Chronicle. Tale이라고 부르는 독립적인 중편의 모임에 의해서 Chronicle이 이루어져 있고 Chronicle은 또 독립적인 이야기를 가진 작품. Tale과 Chronicle이라는 서로 다른 두개의 작품을 지칭하는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이 이름은 하나의 작품을 지칭하는게 아닌 여러개의 작품의 모임과 그 작품을 공통적으로 이루는 세계관에 대해서 집합적으로 일컫는 것에 가깝다. 줄여서 E.T.C.라고 표기한다.
          * E.T.C. - 아래의 모든 작품, 설정, 세계관을 포함하는 용어. Chronicle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E.T.C. 자체가 집합 형태의 프로젝트를 가리킬 뿐만 아니라 Chronicle이라는 시스템과 관련된 단편이 있다.
          * Chronocle - 이름은 Chronocle이나 실제론 tale로 취급한다. 다른 tale 시리즈와 성격이 달라서 컴퓨터 용어로 치면 <head>와 </head>에 해당하는 두 작품이다.
          * tale - 연단편, 중편 각각의 것을 의미한다. 같은 chronicle로 분류될 경우 두운 혹은 각운의 형태로 이름을 통일시킨다. 위의 소드테일, 모던테일이 그 예이다.
  • HelpOnVariables . . . . 5 matches
         다음의 변수들은 페이지를 저장할 때에 자동 변환되어 저장됩니다. '''미리보기를 할 때에는 변환되지 않습니다!'''
         || @``PAGE@ || 페이지 이름 (템플리트 페이지의 경우 유용) || HelpOnPageCreation ||
         || @``USERNAME@ || 사용자 이름 (혹은 아이피) || Foobar ||
  • NavigationMacro . . . . 5 matches
         /!\ 버전 1.0.8 이전에는 {{{TrailMacro}}} 라는 이름이였다가 {{{NavigationMacro}}}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Navigation(문서이름)]]}}}
         /!\ 매크로를 사용할 때에 주의할 점은, 각 문서의 목록 하단에 {{{[[Navigation(목록문서이름)]]}}}을 삽입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 WikiName - 위키 문서 이름짓기
  • OrphanedPagesMacro . . . . 5 matches
         위키 페이지를 만들다보면 어디에도 링크 되지 않은 페이지가 생성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일을 방지하려면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에 위키 링크를 먼저 만들고 그 링크를 따라가서 페이지를 만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은 페이지들을 찾아주는 매크로입니다.
  • 서현류 . . . . 5 matches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기록을 강제집적하는 차원결계가 대대로 전승되는 [[사상유도기관]]의 핵에 존재한다. 이로 인해서 이 유파는 모든 기술의 원류, 책을 밝히는 서현書顯의 이름을 가지게 된다.
         또한 천부적인 영감과 재능이 아니면 이을 수 없단 술법 이론을 교육을 통해서 범용성이 높고 노력하면 이를 전수 할 수 있게 시스템을 개선했다는 점에서도 높이 평가 받는다. 대체로 파의 이름인 書에 어울리게 문인, 철학자, 사상가들이 많이 참여하였으며 이와 결부하여 이들은 서원을 세우고 인간을 계몽, 이론을 퍼트려 더 나아가려고 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 외부에는 극히 드물게 알려졌지만 혼각정술魂刻定術이라는 비술이 있다. 서현류는 가급적 어린 시절 제자를 받아들이려고 하는데 교육이 일반화되지 않고 인간을 추려내기 어려운 과거라면 모를까 현대 초상학파에서는 지나치게 이른 시기에 제자를 받지 않는다. 서현류는 보통 늦어도 6살까지만을 제자로 받는데 어린아이가 가지는 순지성純知性 때문이다. 아직 이지가 발달하지 않고 자아를 구축하지 못한 아이의 혼이 가지는 요소를 읽어내고 이를 이용해서 혼에 서현류로써의 이름을 추가하는 것[* 각이라는 이름이 들어가는 것과 다르게 새기는것이 아닌건 혼에 새길 경우 세뇌가 되기 때문이다.]이다. 이를 통해서 아이는 서현류의 가상서고로부터 지식을 자연히 받아서 그걸 배양할 수 있는 튼튼한 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17세기 이후 여러 전쟁의 틈새에서 이러저리 옮겨다니게 되고 서현류 내부의 사상 싸움과 타 유파와의 싸움에 패한 것으로 인해서 쇠퇴하기 시작하여 19세기 말까지 계속해서 쇠퇴하였다. 이후 계몽주의의 발달과 함께 어느정도의 힘을 회복하여 본거지를 미국으로 옮기고 신학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개량하는데 힘을 쏟는다. 1970년대 유학온 10대의 [[좌장]]을 당시 유파장이 제자로 받아들여 20c 말 거점이 한국으로 이동한다. 이후 한국의 요동치는 정세에 세 제자가 모두 뛰어들고 유파를 잇게 된 [[이정]]이 [[초상혁파]]를 일으켜 공식적으로는 [[의회]]에서 서현류의 이름은 제명된다.
  • 원류사학 . . . . 5 matches
         초상학이라는 이름을 가지기도 전부터 이어져 내려왔으며 최초의 초상학의 개념을 정립하여 전수하는데 성공했으며[* 이들 모두가 최초의 문파는 아니다. 하지만 이들은 교육과 체계화, 도식화 된 시스템을 통해서 후인들에게도 선인들의 지혜와 성과를 전수하는데 성공하여 최초의 문파로 기록된다.] 문인을 전승해서 인간에게 초상능력과 초월의지를 잇게 하였다. 이름을 수십번 바꾸고 그 뿌리가 되는 나라를 계속해서 옮겨다니면서 발전해왔으며 중세를 거치며 모든 초상학이 절멸할 당시에도 이어져왔고 이후 모든 여타의 초상학의 원형이 되었다. 중세 이전에는 이 오리지널에서 나왔던 많은 초상학이 있었으나 다시 원형으로 모이면서 수많은 기와 술들이 모였고 다시 정리되어 지금에 이르렀고 무분별할 정도로 난립했던 학문의 종류도 4가지로 공식적으로 정리되었다.
         Original MASTER. 무학의 특성 상 21세기가 되면서 군학에 치여 사장되기 시작했었다. 다만 일부 뜻있는 사람들에 의해서 이어졌고 종언전쟁 당시 일부 [[기사|마검기사]]가 사용했다고 알려져있다. 성장하면서 자신의 검(무술)을 닦아 하나로 완성하는 도道의 형태를 한다. 만드는 과정에서 경과로의 검만이 아니라 실제적인 형태의 검으로도 만들 수 있다.(현계) 이로 인해서 이 유파는 일성一成이라는 이름을 지니고 있다.
         다만 융통성이 없는 점과 초상능력 그 자체의 캐퍼시티가 낮다는 점때문에 비전을 잇는자가 드물다. 무위武偉 혹은 무위無威라는 이름은 바로 이러한 여럿이 모이는 군학群學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표현한 이름이다.
  • 한국군/통합작전군 . . . . 5 matches
         기존 육본 예하로 존재하던 항작사 또한 이관하였고 이관하면서 다른 업무를 흡수하여 이름을 항공기동사령부로 바꾸었다. 단 기존 사단 및 군단 지원 항공전력은 계속해서 임무지원을 한다. [[기신]]의 경우 항기사 예하 부대가 아닌데 통작에서 직접 통제하고 항기사는 그 보조 및 헬리본 부대를 운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륙작전을 위한 강습상륙함 등을 해군에서 이관받아 운용한다.
         ||<align="left"> 해상이란 이름이 달려있지만 실상은 해저를 통한 침투, 수중작전, 수중폭파 등을 모두 수행하는 부대로 UDT/SEAL의 후신에 해당한다. 중국과의 전쟁을 목전에 두게 되면서 생기게 된 변화로 황해의 대륙붕 구간을 전체 작전 구역으로 삼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저상침입형 잠수정과 [[익스클레이브]] 초기형의 강화복을 지급받으며 황해 전구역을 작전구역으로 삼는다. 어디까지나 체력의 문제긴하지만 인천에서 출발하여 중국연안까지 해저를 걸어서 침투하는 것도 가능하다. ||
         ||<align="left"> 외부에는 특수작전여단의 작전지원부대로 알려져있지만 실제로는 정보수집부대로 1155대와 마찬가지로 이름으로 목적을 가리고 있다. 암살, 고문, 납치 등의 대인 정보탐색에 특화되어있으나 기술적 분석 등에 있어서도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평이다. ||
         ||<align="left"> 이름에 안 어울리게 주임무는 저격지원이다. 샤프슈터와 스나이퍼 양쪽 모두를 수행할 수 있으며 원거리 화기지원 대대라는 이름에 걸맞게 박격포, 유탄발사기, 중기관총 등 다양한 화기를 통해서 여타 작전을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특수작전여단의 실질적인 작전지원부대역할을 맞고 있다.||
  • HelpOnSubPages . . . . 4 matches
         원래 위키에서는 NameSpaces의 구분 없이 {{{SomeTopicSubTopic}}}과 같은 식의 평면적이면서 {{{SomeTopic}}}문서와 그다지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문서로 다루어졌으나, {{{SomeTopic/SubTopic}}}과 같은 식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디렉토리식 메타포를 가지는 이름으로 짓고 좀 더 편리하고 유기적인 문서간의 연결을 지원하게 되었다.
         상위 문서에서 하위문서로 링크를 거는 경우 단순히 {{{/SubPages}}}라는 식으로 링크를 걸 수 있으며, 여러개의 WikiName을 연결해서 임의의 깊이의 하위 문서를 만들 수도 있다. (물론 전체 문서 이름의 길이는 파일 시스템의 파일이름 개수 제한을 받게 된다.)
  • PageListMacro . . . . 4 matches
         [페이지이름]만 찾는다. 내용은 FullSearchMacro로 찾는다.
          옵션을 metawiki 혹은 m으로 넣었습니다. 그런데, 서치 속도가 느립니다. metadb가 5메가 이상인데 약 2초 가까이 걸리네요. 페이지이 이 매크로를 넣으면 페이지 로딩속도가 느려지므로 그다지 바람직한 방법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리고, metadb를 다 서치하려면 메모리를 많이 잡아먹게 되어 멎는 경우도 생기므로, 100여개정도를 찾으면 끝내도록 되어있습니다.
  • RecentChanges . . . . 4 matches
         전체 [[PageCount]] 페이지가 있습니다
         |||| [[Icon(diff)]] || 백업이 여러개 있는 페이지 (클릭하면 바뀐점)||
         |||| [[Icon(updated)]] || 북마크를 한 시점에서 새로 바뀐점이 있는 페이지 (클릭하면 북마크 이후 바뀐점)||
         |||| [[Icon(new)]] || 북마크 시점 이후에 새로 만들어지고 그 뒤로 편집이 안된 페이지||
  • 미군 . . . . 4 matches
         헤라클레스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강화장갑복과 차세대 화기 및 C4i 체계 연동을 모두 얘기한다.
         물론 같은 솔로몬 시스템의 단말이라고 해도 사양이나 최적화된 단말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상위 단말에서 처리하게 하는게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이러한 유리된 단말들은 제각기 솔로몬의 악마의 이름을 붙여서 부른다.
         MQ-24 워울프 보병지원장비. 보병지원장비라는 명칭 때문에 애매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지만 시가전 상황 등에서의 전술정찰, 무거운 탄약 등의 야전보급, 지뢰밭 개척 등 다양한 목적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아라크네 패키지에 4대가 편제되며 이름과 같이 견마형 로봇의 형태를 하고 있다. 기신에도 사용된 인공근육이나 관절 구조 등의 이론이 여기서 나온 것으로 이런 이유로 인해서 철로 된 것에 반해 매우 가볍고 건물이나 폐허 사이를 폴짝폴짝 뛰어다니는 것이 가능하다.
  • 성체화신류 . . . . 4 matches
         성체화신류星剃化神[* 본디 이름은 星締禍神. 아인이 일부러 이름을 감추었다.] 투학. 성체화신권, 성체화신도, 성체화신기 등으로도 불린다. 가장 대중적인 명칭은 성체화신권.
         오로지 상대를 격살하고 때려눕혀 굴복시키는데 초점을 맞춘 투학. [[아인|몽영 아인]]이 만들어냈으며 당대 여러백타 무문과 투학 중 최고를 논할 때 항상 빠지지 않은 이름이었다.
          바로 이 기술의 존재를 숨기고 있기 때문에 성체신화권은 전혀 다른 이름으로 알려지게 된 것이다.
  • RecentChangesMacro . . . . 3 matches
          * `hits` 옵션 추가 (페이지 히트수 보여줌 (`$use_counter` 옵션 사용시)
          class를 추가한다면 무슨 이름으로 추가할까요 ? MoinMoin에서는 class가 부여되지 않았습니다. --WkPark
          이름이야 엿장수 맘이지만, 전 .rcTable, .icon, .page, .timestamp로 했습니다.
  • 거신권 . . . . 3 matches
         이름에 신이 들어가는 것과 다르게 사용된 소스 중에 직접적으로 신과 관련된 부분은 없다. 거신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은 이 무학이 추구하는 바가 혼과 백의 분리와 융합, 구체화에 있기 때문이다.
         거신권의 연마가 극에 달하면 인간을 초월한, 영체(혼과 백)로 된 형상을 손에 넣게된다. 이러한 특징이 마치 거대한 신인을 보는 듯하다 하여 거신권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된 것이다.
  • 백마백검류 . . . . 3 matches
         백개의 술법과 백개의 검을 동시에 사용한다는 이름을 내건 유파로 현대에 알려진 유파답게 실전성과 종합성을 두루 갖추고 있다.
         그리고 전투에 들어서면 이 안개, 단개斷蓋는 안개 내부에서 기검의 형태를 만든다. 그리고 근접전에 들어가서 검을 휘두르게 되면 단개에 의해 내부의 무수한 검이 같이 휘둘러지는데 궤적 자체는 같지만 각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피하기가 극히 어렵다. 더군다나 안개 내부라는 특성상 360도 전체에서 휘둘러진다. 이 것이 백검이라는 이름의 유래다.
         사용자 각자에 따라서는 백마천검 혹은 천마백검이 될 수도 있지만 백마백검으로 고정된 이유는 이를 동시에 구사하면서 기술화 시켜서 남에게 전수한자가 없는 까닭이다. 초창기의 이 유파는 십마십겁으로 시작하였고 백년 정도를 거쳐 백마백검을 완성하였다. 즉 백마백검이라고 하는 것은 고정된 이름이라기보다는 이 유파에서 시스템적으로 유지와 교육을 할 수 있는 형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언젠가 천마천검을 이룰 날이 있을 거라고 이들은 믿고 있다.
  • 원영신단 . . . . 3 matches
         원영신단, 원영신교, 원영신류 다양한 이름이 있지만 주로 원영신단이라는 이름이 술계에서는 통용된다.
         사도 중에서도 제한된 수의 인원들은 다음 단계로 넘어가 이 원영신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게 바로 교단 이름이 된 기술로 타 유파의 에테리얼라이즈와 비슷해진다.
  • 초상학 . . . . 3 matches
         인류의 기원과 함께 모든 문명지에서 문명의 발달과 함께 발달했으나 차차로 문명의 발전과 함께 도태되거나 문명의 뒷켠으로 사라졌다. 그 절정은 14세기부터 17세기의 사이로 이 사이에 문명에 수없이 존재하던 초상학이 모두 거의 대부분 사라지고 남은 유산과 이론은 그 때 살아남은 단 4개의 학파에 모두 흡수되었다. 이를 원류 4학이라고 부르며 이 이후 다시 부흥한 술리학은 이들 원류4학에 의해서 정립이 되어 흔히 초상학의 분류에는 이 4학의 이름을 쓴다.
         현대 초상학파의 대부분이 술학이긴 하지만 엄밀하게 그 계통을 따지면 원류4학이 뒤엉킨 가운데 술학이 강하게 나타나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대 초상학의 방법론이 많은 부분을 술학(특히 [[서현류]])에 의존하기 때문에 초상학의 체계나 급수 등을 술학의 체계를 이용해서 공통적으로 쓰고 있다. 이 때문에 현대 초상학을 술리학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더 많고 실제로 공적인 단어로 채택이 된 것은 이 술리학이다.
          이 레벨이 되려면 자신의 이름으로 된 완전히 새로운 술식을 학회에 등록해야한다.
  • 한국군 . . . . 3 matches
          이름은 구축함이지만 만재배수량 2만톤급의 헬기순양함으로 분류된다. 이름은 어디까지나 주변국을 건드리지 않기 위한 방책.
          별칭의 물수리의 경우 해군용에 한정된 이름이지만 VFQ-5가 나온 이후로는 전부 해군으로 돌려졌기 때문에 사실상 VFQ-2를 가리키는 명칭이 물수리로 고정되었다.
  • DynamicMacro . . . . 2 matches
         상당수의 매크로는 StaticMacro 즉 그 내용이 변하지 않는 매크로이다. 하지만 페이지를 로딩할때마다 그 내용이 바뀌게 되는 매크로도 있는데 이것을 특별히 DynamicMacro라고 한다. 보통 가변적인 내용은 action에서, 변동이 없는 내용은 매크로를 이용하는 방식이 되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또한 매크로/액션 모두 페이지 내용의 변화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도 있고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 HelpOnGitInstallation . . . . 2 matches
          3. 임의의 위키 문서를 열어봅니다.
         이후의 설치방법은 HelpOnInstallation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 PageHitsMacro . . . . 2 matches
         PageHits에서 히트가 많은 페이지가 위에 오는데, 이를 거꾸로 해서 히트가 빈한 페이지에게도 꽃다발을 주고 싶습니다. r 옵션을 지원해서 arsort()만이 아니라 asort()도 되게 하면 어떨까요 ?
  • 기신 . . . . 2 matches
         ACA(Amored Combat Aircraft/Artilery), 드레드노트급 전투기(Dreadnaught Combatcraft)[* 여기서의 전투기는 비행체로의 전투기가 아닌 전쟁용 기갑체를 가리키는 것이나 한국에서는 흔히 비행체로 사용된지라 두가지 뜻이 모두 맞다고 할 수 있다.], 기신(machina magius) 등 여러 표현이 혼재한다. 군사용어로는 ACA가 가장 대중적이었으며 공적 매체의 표현으로는 드레드노트급 전투비행체 혹은 기신, 일상생활에서는 기신이라는 표현이 가장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페이지에서는 기신을 주로 사용한다.
         다목적 탄이라는 이름과 같이 매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기본탄두의 경우 솔로몬 C4I 제어 시스템 및 기신의 ai와 연결되어서 gps 및 레이더에 의한 3차원 인식을 통한 유도 기능을 탑재하였다. 전통적인 발사 후 망각식도 가능하다.
  • 마검 . . . . 2 matches
         오랜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신화&신비&전설의 집합 혹은 구현체를 이용한 사상/사념병기. 기본적으로는 물건이나 [[이정]]이 마검비록을 발표하여 크게 알려져 통칭 마검으로 통일한다. 과거에는 보패, 마검, 마법기, 마구, 신검, 보물, 보구, 환상기, 법구 등 다양한 형태의 이름으로 불렸지만 이정의 논문 이름이 마검비록이라는 점과 전장에 모습을 드러낸 대다수의 것들이 검의 형태였기 때문에 마검이라고 통칭한다.
  • 마검록 . . . . 2 matches
         E.T.C.의 핵심 소재이자 모든 것. 모든 tale은 이 녀석의 존재로 인해서 존재하고 이 녀석을 위해서 만들어졌다.[* 설정적인 취급 외에도 실제 발상 면에서도 이 마검록이 선행하고 마검록의 확장형태로 E.T.C.가 나왔다. 때문에 이 문장이 가리키는 의미는 작 내외 모두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이 마검록을 가리키는 이름이 바로 Chronocle인 것이다. Chronocle은 의도적인 비문으로 chrono와 chronicle의 합성어이다.
         ||<bgcolor="#f0ffff"> 1946년 || 한국 분단 || 국공내전 발발 || [[대정일륜회]]의 초상학 병기화 자료와 독일의 잔존 아넨에르베 일원이 미국으로 건너가 [[사대사좌|하이노블오더]] 설립. 기존의 [[의회]]에 대응하여 하이노블오더라고 이름 지은 이 조직에 의해서 의회 중심의 초상학 질서에 흔들림이 생긴다. ||
  • 사상유도기관 . . . . 2 matches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른바 [[원류4학]] 중 [[서현류]]에 의해서 확실하게 그 이론이 정립되었다. 현대 [[초상학]]은 설치와 촉매보다는 즉시성과 가변성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현대 초상학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스트레이트 재킷의 전술마법사들이 사용하는 사상유도기관.
  • 에테리얼라이즈 . . . . 2 matches
         [[마검록]]의 등장 용어, 현상. Etherialize, 현맥타통, 팔문개방, 등선, 어센션 등 다양한 유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일종의 상태. 모든 [[초상학]] [[술문|유파]]들이 추구하던 궁극에 가장 가까운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의회]]에서는 지극히 희귀한 에테리얼라이즈체를 연구하기 위해서 에테리얼라이즈한 개체가 개체차가 구별될 경우 코드네임을 부여해서 관찰하고 확보하려고 했었는데 이러한 연유로 인해서 21세기 [[모던테일]]의 시기에도 각성한 상태의 에테리얼라이즈를 별도의 이름을 주어서 구별한다.
  • 의회 . . . . 2 matches
         여기에 [[원류4학]]이라고 불리는 초상학의 메인스트림을 일으킨 단체들이 참가하여 이름을 올리게 되자 이들을 기념하여 상징적인 4위를 부여하는데 후일 이게 [[사대사좌]]로 연결된다.
         때문에 소드테일에서는 모던테일의 의회가 특정 학문의 중심지로써 내부적으로만 그 기능을 하는데 반해서 실질적인 정치기구이자 입법기구로써 기능한다. 이름 그대로 진짜 '의회'가 되버린 것이다.
  • 전무류 . . . . 2 matches
         의意보다는 그 기技에 맞춘 형태의 움직임을 손에 넣는데 주력하며 어떤 일관적인 하나의 움직임의 형태는 쟁투술爭鬪術이라는 이름으로 묶여 본가에 모여 계속해서 전승해 나간다.
          돌격, 돌파의 백화요란과 수세에서의 난영, 반격의 쟁가란무와 다르게 자신이 선을 잡고 공격하는 형태의 난검술. 답공에서 시작하는게 아닌 겁파에서 시작하여 고정-이동-공격의 세가지 자세를 한순간에 동시에 구사하며 연속으로 가하는 기술로, 때리고 그 반동으로 다른 장소에 도달하여 다시 겁파에서의 난검술을 행하는게 그 원리다. 무수한 잔영과 놀라울 정도의 속도로 이루어지는 난검술, 그리고 예측할 수 없는 궤도와 전방위에서의 공격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 초상학/유파 . . . . 2 matches
         알튀세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단순한 노래를 이용한 술법이 아닌 노래와 그 공명을 이용한 체술로 이어지는 일체화된 기술을 사용한다. 즉 노래를 이용한 공격과 자기 자신에 대한 강화를 동시에 행하며 그 가락에 의한 무술도 합쳐진 유파. [[소드테일]] 시대까지 이어져서 [[8문10가]]의 하나로 이어진다.
         이러한 파워게임을 해서 크게 문제가 되었던 것이 바로 선계전쟁 이른바 봉신전쟁으로 모든 선계들은 간섭에 일정부분을 제한 받지만 동양의 선계, 특히 곤륜과 금오는 봉신규약이라는 이름으로 특별히 더 제약을 받고 이 제약을 감시하는게 바로 청구봉래이다.
  • 8문10가 . . . . 1 match
         그런데 이 중 [[서현류]]는 초상혁파 직후에 풍비박산이 났고 이름만 걸쳐놓은 상황, 나머지 원류4학도 그리 썩 좋은 형편은 아니라 유파로서 명맥을 유지하는건 무위류뿐이었다. 이후 의회와 [[이정]]과의 대립으로 고문 3곳이 박살이 난다. 이후 일종의 파워게임이라고 할 수 있는 명가죽이기에서 6곳이 멸망, 다시 [[술재의 밤]]을 거치면서 고문 5곳이 더 사라지고 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7개 유파만이 남는다. 이중 [[사대사좌|사대]]가 있으니 결국 살아남은 고문은 3곳 뿐인 셈이다.
  • CategoryMeta . . . . 1 match
         메타페이지용 카테고리
  • DateTimeMacro . . . . 1 match
         @SIG'''''' 혹은 @DATE''''''@ 같은 [[HelpOnVariables|위키변수]]는 페이지가 저장될 때에 다음과 같은 DateTimeMacro로 자동 변환됩니다.
  • FootNoteMacro . . . . 1 match
         config.php에 다음과 같은 식의 설정을 넣으면 모든 페이지에 {{{[[FootNote]]}}}매크로가 자동 삽입됩니다.
  • FullSearchMacro . . . . 1 match
          * 붙으면, (rc15 이상에서) 인자가 없을 땐 현재 페이지 제목으로 찾고, 인자가 있으면 그에 따라 찾는다.
  • HelpOnAdministration . . . . 1 match
         열거된 페이지는 위키를 관리하기 위한 여러가지 정보를 담고있습니다.~
  • HelpOnCvsInstallation . . . . 1 match
         이후의 설치방법은 HelpOnInstallation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 HelpOnFormatting . . . . 1 match
         위키위키는 좀 더 직관적이면서 이해하기 쉬운 단순한 세트의 문법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HTML 문서를 만들기 위해서 HTML문법을 알아야 하는 것 처럼 위키위키 페이지를 만들거나 고치기 위해서 위키위키 문법을 알아야 합니다. HTML문법은 직관적이지 않고 복잡한 측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HTML문서는 매우 간단한 문법을 알기만 하면 만들 수 있습니다. 위키위키는 이러한 문법을 좀 더 단순화 시키고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단순한 규칙으로 구성되도록 고안되었으며 조금만 시간을 투자한다면 위키위키의 문법을 쉽게 이해하고 배우실 수 있습니다.
  • HelpOnHeadlines . . . . 1 match
         /!\ {{{= 레벨 1 =}}} 제목은 <h1>으로 랜더링되지만 다른 위키위키 마크업과 통일성을 위해 '''두개'''의 "==" 부터 제목줄을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MediaWiki에서도 비슷한 이유로 ``레벨1`` 제목 사용을 제한적 허용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h1>은 ''페이지의 제목''에 할당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HelpOnProcessors . . . . 1 match
         다음과 같이 코드 블럭 영역 최 상단에 {{{#!}}}로 시작하는 프로세서 이름을 써 넣으면, 예를 들어 {{{#!python}}}이라고 하면 그 코드블럭 영역은 {{{plugin/processor/python.php}}}에 정의된 processor_python()이라는 모니위키의 플러그인에 의해 처리되게 됩니다. {{{#!python}}}은 유닉스의 스크립트 해석기를 지정하는 이른바 ''bang path'' 지정자 형식과 같으며, 유닉스에서 사용하는 목적과 동일한 컨셉트로 작동됩니다. (즉, 스크립트의 최 상단에 지정된 스크립트 지정자에 의해 스크립트의 파일 나머지 부분이 해석되어 집니다.)
  • HelpOnSmileys . . . . 1 match
         편집 화면에서 {{{[[SmileyChooser]]}}}를 넣고 싶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EditTextForm 페이지를 편집해주셔야 합니다.
  • HelpOnUpdating . . . . 1 match
         가장 쉽게 설정하는 방법은, 기존의 `config.php`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바꾼 후에 (예를 들어 `config.php.my`) `monisetup.php`를 브라우저를 통해 열어서 `config.php`를 다시 만드는 것입니다. (이 때 `chmod 2777 . data` 명령으로 미리 퍼미션을 조정해 두어야 합니다)
  • InlineMacro . . . . 1 match
          A: 아.. 파일을 소스 자체로 프로세서를 통해서 보여주기를 원하시는군요? 모인모인에서 "inline:파일이름"과 같은 방식의 문법을 지원했던 것을 압니다. 모인모인 방식을 살펴보고 모니위키에도 적용해봐야 할 것 같네요. [[Date(2009-07-26T10:09:21)]]
  • MoniWikiProcessor . . . . 1 match
         MoniWiki에서는 이미 Processor와 Parser개념을 통합및 간소화 하여 Processor라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 TableOfContentsMacro . . . . 1 match
         TableOfContentsMacro를 페이지의 상단에 {{{[[TableOfContents]]}}} 와 같이 넣으면,
  • WikiSandBox . . . . 1 match
         || 1151 해상특수작전단 || 해상이란 이름이 달려있지만 실상은 해저를 통한 침투, 수중작전, 수중폭파 등을 모두 수행하는 부대로 UDT/SEAL의 후신에 해당한다. 중국과의 전쟁을 목전에 두게 되면서 생기게 된 변화로 황해의 대륙붕 구간을 전체 작전 구역으로 삼게 된다는 것이다.
  • 격원류 . . . . 1 match
          백뢰신의 상태를 변형시켜 날카로운 도로 만든다. 각이라는 이름이 붙어있지만 굳이 발일 필요는 없다. 포장 역시 마찬가지.
  • 무신류 . . . . 1 match
         이신기는 신마류 종가의 전수자에게는 통하지않는 특징이 있다. 신마류를 전수 받는 인원들은 이신기에 해당하는 계도와 라후도 배울 뿐더러 계도와 라후를 무효화하는 일월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 때문에 반란을 막기 위한 목적이라는 이름을 가졌으면서 정작 종가 신마류에서 반란이 일어난 경우 막지 못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본가의 소수 인원이 아닌 그 밑의 무신류 인원을 제어하는데는 충분한 기여를 하였다.
  • 봉검 . . . . 1 match
         봉신검封神劍. 오로지 신을 봉하는 그 하나의 목적을 위해서 만들어진 종류의 초상학으로 모던테일 시절에는 봉신류라고 불렀다. 소드테일 시기에 와서는 원래의 봉신류 자체는 도태되고 그 중 봉신검, 통칭 봉검을 다루기 위한 술식만이 보존되어 유파로서의 이름은 잃고 단순히 봉검이라고만 불리게 되었다.[* [[4기검]]을 위시로 한 봉신류의 진짜 명맥을 아는 자들이 진실을 감추기 위해서 일부러 행하였다.]
  • 세계수 . . . . 1 match
         세계수라 이름 붙어있지만 그 모든게 수樹의 형태를 취하고 있진 않다. 본질적으로 세계수는 주적생물呪的生物이며 나무의 성질을 띄지만 동시에 영소로부터 취합한 정보를 통해서 가장 그곳에 어울리는 형태를 취하게 변하게 되어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탑, 전신주, 고층빌딩과 같은 형태로도 의태하며 그와 같은 기능을 충실히 수행해 낼 수 있다. 과거의 경우 산이나 거대한 나무, 장승, 석탑, 목탑 등 다양한 모습을 취하였다. 공통적인 것은 거대하고 우뚝선 형상을 취하는 것이다.
  • 이심유도장치 . . . . 1 match
         [[이정]]이 [[초상혁파]] 직후 [[초상학]]의 대중화와 산업화를 위해 발표하였으며 그는 당대 최고의 ECD 기술자로 이름을 알렸다.
  • 일람 . . . . 1 match
         미스카토닉, 옥스브릿지, 서현류 대서관의 삼원. 그리고 나머지 네개 학원이 사위. 마검록 세계관에서 초상학으로 이름높은 7곳의 학술기관을 가리키며 동시에 그들이 관리하는 트로파이온이라고 하는 접속키도 의미한다.
  • 좌장 . . . . 1 match
         하지만 의회의 대응은 굉장히 단호해서 순식간에 한국 정부를 압박하고 기습적으로 이정과 좌장을 습격, 포박하는데 성공하였다. 결국 여기서 좌장이 택한 것은 제자를 희생해서 쓸모없는 오명을 뒤집어쓰느니 자신이 모든걸 책임져서 책임자라는 평가를 얻어 불멸의 이름을 남기려 한다. 좌장이 타협책으로 제시한 것은 고위 초상학자의 정보체(본인의 혼)와 서현류의 폐문, 제자들의 생존 그리고 초상혁파에 대한 인정이었다. 의회는 이를 받아들여 혼살형을 집행하고 국제기구로써 초상학으로 인한 분란과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직접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
  • 천라허상검 . . . . 1 match
         단일한 유파도 아니며 아인도 딱히 전수할 생각이 없기 때문에 문, 류와 같은 이름이 붙지 않았다.
  • 특별안전수사청 . . . . 1 match
         보안청이나 공안과가 일반 시민으로부터 악명 높은데 반해서 이쪽은 일반시민보다는 반정부조직 사이에서만 이름이 도는 수준. 인력부족이다보니 실제 작전은 일선 경찰에 맞기는 경우도 많고 각종 장비를 통해서 보안유지를 철저히 하는 것도 한 몫하기 때문.
Found 81 matching pages out of 138 total pages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Processing time 0.6121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