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학이니만큼 단순히 무술을 익히고 몸을 부리고 사람을 부리는데 목적이 있는게 아닌 어떤 성취나 경지를 달성하고자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다만 그게 일반적인 무학과 다르게 혼과 기를 닦아 정신과 육체를 합일 시켜 인간을 초월한 단계에 다르는 것이 아닌 땀과 몸을 겹쳐서 만들어낸 기술을 연마하는 것만으로 다른 모든 가능성을 가진 초상능력자를 패퇴시키고 무력화시키는데 그 자체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위의 것은
모던테일이나
소드테일 양 시기 모두 종가에서 정통으로 전수받지 않거나 일반적인 세계의 인식일뿐 정확한 표현이 아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최초의 목적은 따로 있었지만 전무류가 징향하던 방향이 당시 세계의 상황과 맞물리면서 저 형태로 변화했다고 보는게 맞을 것이다.
전무류가 지향하던 최초의 목적은 형과 식을 쌓고 몸에 각인시킴으로써 그것만으로 인간의 인지 너머에 있는 겨지에 도달하는데 있다. 다른 무학들에서 자세 하나하나의 정교함과 매진을 요구하고 그 자세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하여 고급의 무술을 익히면서 발전을 한다면 전무류에는 그딴것은 없다라는 것이다.
최초의 전무류의 창시자의 이론에 따르면 모든 무술을 미세화하고 파편화하고 본질적으로 파헤치면 그 행위는 모든 4가지로 집약된다는 것이다.
참섬타돌斬閃打突. 베고 찌르고 치고 움직인다. 검으로써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무술이 행하는 것을 본질적으로 분석하여 그 모든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몸에 각인을 시키면 매번 매번의 순간에 최적의 동작을 행할 수 있으며 자연에 이를 수 있고 이게 곧 모든 형의 끝이라는게 전무류의 핵심이론이다.
따라서 전무류에는 기존의 무파들과 같은 고유의 초식이라는건 거의 없다. 자세와 상황만이 주어지며 운동이론과 인체학, 물리학을 이용하여 매번의 자세를 반복하고 연습하는 것으로 모든 자세와 운동을 섭렵하고 그리고 그 끝에
자연에 다다라 그 어떤 식과 형이라도 넘어서 벨 수 있다라는게 전무류의 이론이며 지향점이다. 실제로 이 시기 이러한 전무류가 지향하는 바를
실제로 달성한 사람이 있었다.
일단 이러한 최초의 뜻과 상관없이 형과 기를 갈고 닦는것만으로 모든 초상학을 패퇴시키고 누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거기에 특화되어있기 때문에
기사들의 기본 수련자료로 많이 활용된다. 특히
봉검기사의 경우 상당한 수준까지 이를 배운다.